learning

Fishbone Diagram 예시

22세기정보상인 2024. 5. 30. 17:41

Fishbone Diagram은 복잡한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. 물고기 뼈 형태를 닮아 Fishbone Diagram이라고 불리며, 주로 품질 관리와 문제 해결 과정에서 사용됩니다.

 

목적 및 사용 이유

  • 문제의 근본 원인 분석: 표면적인 문제가 아닌,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사용됩니다.
  • 팀 협력 강화: 다양한 팀원들이 참여하여 여러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체계적 접근: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, 가능한 모든 원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
Fishbone Diagram 작성 단계

  1. 문제 정의:
    • 해결하려는 문제나 이슈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. 문제를 다이어그램의 머리 부분에 위치시킵니다.
  2. 주요 원인 범주 설정:
    •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주요 범주를 설정합니다.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주는 다음과 같습니다:
      • 사람(Man): 사람과 관련된 원인 (예: 기술 부족, 교육 부족)
      • 기계(Machine): 기계 및 장비와 관련된 원인 (예: 장비 고장, 유지 보수 부족)
      • 방법(Method): 절차 및 방법과 관련된 원인 (예: 잘못된 절차, 표준 부재)
      • 재료(Material): 재료 및 원자재와 관련된 원인 (예: 품질 불량, 재료 결함)
      • 환경(Environment):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원인 (예: 작업 환경, 날씨)
      • 측정(Measurement): 측정 및 데이터와 관련된 원인 (예: 부정확한 데이터, 측정 오류)
  3. 원인 식별:
    • 각 주요 원인 범주에 대해 세부적인 원인을 식별합니다.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팀원들이 다양한 원인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.
  4. 세부 원인 추가:
    • 식별된 원인을 더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. 원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,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세부 원인을 추가합니다.
  5. 다이어그램 작성:
    • 문제를 중심으로 물고기 뼈 형태의 다이어그램을 작성합니다. 중앙에 문제를 쓰고, 주요 원인 범주를 큰 가지로, 세부 원인을 작은 가지로 표시합니다.

 

 

"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일정 지연"이라는 문제를 Fishbone Diagram으로 나타내 봅니다

문제 정의

문제: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일정 지연

주요 원인 범주 설정

  1. 사람(Man)
  2. 기계(Machine)
  3. 방법(Method)
  4. 재료(Material)
  5. 환경(Environment)
  6. 측정(Measurement)

각 범주에 대한 세부 원인 식별

각 주요 원인 범주에 대해 세부 원인을 식별합니다.

사람(Man)

  • 팀원의 기술 부족
  • 팀원의 경험 부족
  • 프로젝트 관리자 부족
  • 팀원의 동기 부여 부족

기계(Machine)

  • 개발 도구의 성능 저하
  • 네트워크 문제
  • 서버 다운타임
  • 하드웨어 고장

방법(Method)

  • 불명확한 요구사항
  •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
  • 잘못된 프로젝트 계획
  • 절차의 비효율성

재료(Material)

  • 불충분한 자원
  • 부적절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
  •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의 문제
  •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

환경(Environment)

  • 작업 환경의 소음
  • 사무실 공간 부족
  • 온도 및 습도 문제
  • 작업 환경의 청결도 부족

측정(Measurement)

  • 불충분한 진행 상황 모니터링
  • 잘못된 성과 지표
  • 불일치한 보고 방법
  • 측정 도구의 정밀도 문제

Fishbone Diagram 작성

이제 이 정보를 바탕으로 Fishbone Diagram을 작성합니다. 다음은 이시카와 다이어그램의 예시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일정 지연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     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    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    사람          기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방법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재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환경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측정
 (Man)          (Machine)       (Method)              (Material)         (Environment)   (Measurement)
    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기술 부족      성능 저하          불명확한 요구      불충분한 자원         소음                  불충분한 모니터링
경험 부족      네트워크 문제   비효율적 커뮤니  부적절한 라이선스   공간 부족          잘못된 지표
관리자 부족  서버 다운타임   잘못된 계획         서드파티 문제          온도 및 습도      불일치한 보고
동기 부족      하드웨어 고장   절차 비효율          데이터 문제            청결도 부족       도구 정밀도 문제

 

 

구체적인 예시 설명

문제: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일정 지연

사람(Man)

  • 기술 부족: 팀원들이 필요한 기술을 충분히 갖추지 못해 작업 시간이 증가함.
  • 경험 부족: 경험이 부족한 팀원이 많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짐.
  • 프로젝트 관리자 부족: 프로젝트 관리자가 부족하여 작업의 조율과 관리가 미흡함.
  • 동기 부여 부족: 팀원들의 동기 부여가 부족하여 작업 속도가 느림.

기계(Machine)

  • 개발 도구의 성능 저하: 사용하는 개발 도구의 성능이 낮아 작업 속도가 느림.
  • 네트워크 문제: 네트워크 연결 문제가 잦아 작업이 지연됨.
  • 서버 다운타임: 서버가 자주 다운되어 개발 작업이 중단됨.
  • 하드웨어 고장: 하드웨어 고장이 발생하여 작업이 중단됨.

방법(Method)

  • 불명확한 요구사항: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아 개발 방향이 자주 변경됨.
  •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: 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비효율적이라 정보 전달이 지연됨.
  • 잘못된 프로젝트 계획: 초기 프로젝트 계획이 잘못되어 일정이 맞지 않음.
  • 절차의 비효율성: 개발 절차가 비효율적이라 작업 시간이 늘어짐.

재료(Material)

  • 불충분한 자원: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이 충분하지 않아 작업이 지연됨.
  • 부적절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: 필요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없거나 부적절함.
  •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의 문제: 사용하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에 문제가 있음.
  •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: 데이터가 부정확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임.

환경(Environment)

  • 작업 환경의 소음: 작업 환경이 시끄러워 집중이 어려움.
  • 사무실 공간 부족: 사무실 공간이 부족하여 작업 효율성이 떨어짐.
  • 온도 및 습도 문제: 작업 환경의 온도 및 습도가 적절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짐.
  • 작업 환경의 청결도 부족: 작업 환경이 청결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짐.

측정(Measurement)

  • 불충분한 진행 상황 모니터링: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제대로 모니터링하지 않음.
  • 잘못된 성과 지표: 사용하고 있는 성과 지표가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진행 상황을 반영하지 않음.
  • 불일치한 보고 방법: 보고 방법이 일관되지 않아 정보 전달이 정확하지 않음.
  • 측정 도구의 정밀도 문제: 사용하는 측정 도구가 정확하지 않아 데이터가 부정확함.

 

이 다이어그램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,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. 다양한 원인을 고려하여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.